–
저도 아무것도 모르는 상태에서 무식하게 도전한 창업을 실패로 맞이한 적 있어요. 창업의 끝에 제게 남겨진 가장 소중한 것은 ‘실패 노트’라는 이름의 경험이었습니다. 결과적으로는 실패했지만, 매일의 치열함을 바탕으로 얻은 경험은 지금도 제게 중요한 배움이 되고 있어요. 지금도 우리는 소위 잘 나가는 서비스들에 집중하고 있지만, 사실 실패하는 경우가 훨씬 많을거에요. 지금 써보러 갑니다를 통해서도 ‘실패 사례’를 확인하고 배울 수 있는 서비스를 몇 번 소개한 적 있는데요. 오늘은 그 중, 가장 많은 구글 서비스를 포함하고 있는 곳을 정리해보고자 합니다.
–

구글도, 수없이 많은 실패를 했어요. ‘Google Cemetery’에는 100여개 이상의, 구글이 실패한 서비스 리스트가 포함되어 있습니다.

페이지에 진입하면, 가장 먼저 추천 포스트를 제안합니다. 구글 코드를 제외하면 모두 한 번 이상 써본 서비스라 반갑기도 하고, 아쉽기도 했어요.

추천 포스트 아래로 전체 포스트를 카테고리에 따라 확인할 수 있습니다. 좋았던 건, 실패 이유가 필터로 제공된다는 점이었어요.
- 비즈니스 모델
- 원활하지 못한 운영
- 마케팅
- 마켓 핏
- 출시 시기
- 경쟁
- 제품 경쟁력
- 피벗
- 법적 문제
등 실패 이유에 따라 서비스 리스트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. 뿐만 아니라 서비스 카테고리, 출시와 종료 시기 등에 따라서도 리스트를 볼 수 있어요.

저는 추천 포스트로 제공되는 ‘Picasa’를 먼저 살펴봤어요. 2002년 시작, 2016년 종료된 서비스로 사진을 관리 하는데 초점이 맞춰진 서비스입니다. 대학교 시절, 과제할 때 종종 사용했던 기억이 있어요. 사실 구글이 직접 개발했던 서비스는 아니고, 2004년에 500만 달러에 인수한 서비스인데요. 종료 이유는 뒤에 나오겠지만, 당시 얼굴을 인식해 유사 사진을 분류해주는 기능까지 제공했으니, 데이터 수집 및 분석의 목적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목적이 컸어요. 구글의 입장에서는 말이죠.


서비스 소개 아래로, 우리가 집중해야 할 내용이 연결 되는데요. 먼저, 지속되지 못한 이유를 볼 수 있어요. 피카사 종료는 구글이 직접 그 내용을 밝힌 바 있는데요. 구글 포토에 집중하기 위해서 입니다. 구글 포토가 처음 시작 되었을 때 클라우드 활용이 가능한 무료 스토리지를 제공, 각 상황을 고려해 다양한 앨범 등을 제공해주는 점에 큰 매력을 느낀 분들이 많았는데요. (6월 1일부로 유료화가 되었지만) 구글은 피카사를 계속 유지하는 대신, 구글 포토를 통해 사용성은 물론 본인들의 목적에 부합하는 데이터를 더 빠르고 쉽게 확보하기 위한 방법을 선택하게 됩니다.
그 외에도, 코드 사용을 최소화 해 앱을 만들 수 있었던 App Maker는 AppSheet 인수와 동시에 올 1월 서비스 종료, 애플 뮤직과의 경쟁에서 앞서지 못하고, 유튜브 뮤직에 더 집중하기 위한 방법으로 구글 플레이 뮤직을 종료하는 등 서비스(실패 또는 기타 다양한 이유로 인한) 별 이유와 상세 내용을 자세히 들여다 볼 수 있습니다. 국내에 출시 되지 않아 소식조차 제대로 접하지 못했던 서비스도 다수 포함되어 있고요.
실패 이유를 기준으로, 여러 서비스를 살펴보고 싶으시다면! 이 곳을 통해 더 자세한 내용을 확인해주세요!
–
함께 읽어보세요!
–